호두는 뇌에 정말 좋습니다.
두 번째 포스팅 이어서 진행합니다 ^^
(이거 생각보다 힘드네요 ^^a)
먼저 포스팅에서
알파리놀렌산(ALA)
콜린(Choline)
트립토판
등 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했구요 ^^
이어서 계속 진행해보겠습니다.
마그네슘 : Magnesium, Mg
호두에는 마그네슘이 약 158mg 들어있습니다. 하루 마그네슘의 권장섭취량은 남자 350mg, 여자 280mg이랍니다.
네 화학시간에 배우는 그 마그네슘이 맞습니다. 이건 쉬우니까(?) 간단하게 고등학교 때 배우는 내용을 다시 찾아서 써 보겠습니다.
마그네슘은 2족 금속 이죠. 나트륨(Na) 다음 원소.
원자번호는 12, 원자량은 24(소숫점은 모르겠습니다). 알칼리성이구요.
일하면서 주워들은 잡지식으로, 알미늄보다 가볍기 때문에 가벼운 구조물을 만들어야 할 때 간혹 사용되는 경우가 있지만, 반응성이 너무 좋아서 공기중에서는 폭발하듯 산화되어 버리기 때문에, 일반인은 구매할 수 없는 금속입니다.(개인적으론 이런 정보가 더 쓸모 있다고 생각하지만... ^^)
마그네슘은 세포의 미네랄 밸런싱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. ATP는 세포 안의 나트륨, 칼슘을 세포 밖으로 밀어내고, 칼슘과 마그네슘은 세포 안으로 불러들입니다. 이 과정에 마그네슘이 반드시 필요합니다.
만약, 마그네슘이 부족해서 세포 내에 나트륨이 많아지면 혈관이 가늘어지는 원인이 되고, 이로 인해 뇌경색, 심근경색등이 유발될 수 있다고 합니다.
※ ATP는 세포의 에너지원이 되는 효소입니다.(자세한건 나중에 포스팅할 기회가 있을 것 같습니다.)
검색 중 발견한 사례로, 미국 MIT와 중국 청화대학교 신경과학 합동연구팀은 쥐의 뇌 속에 마그네슘이 많아지면 장단기 기억력과 학습능력 등이 모두 개선됐다는 실험결과가 있다고 하네요
비타민 E
비타민E 는 지용성 비타민의 일종으로 토코페롤(Tocopherol, TCP)이라고도 합니다.

뉴욕에서 인종과 무관하게 실시한 연구에서 비타민E를 규칙적으로 복용하면 뇌졸중 발생 위험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도하고, 의학전문잡지 뉴 잉글랜드 저널이 인용, 보도한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타민E를 규칙적으로 섭취할 경우 뇌졸중에 걸릴 위험성이 50% 이상 줄어들게 된다고 합니다.
그리고 비타민E 는 비타민C 와 같이 항산화제로써 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줄여주는 역할을 하며, 뇌세포에도 같은 효능이 있다고 생각됩니다.
엽산 : 葉酸, 잎산, 폴산(folic acid)

엽산도 비타민의 일종으로 비타민 B9 또는 비타민 M 이라고도 불린다. 태아의 신경과 혈관 발달에 중요하기 때문에, 임신전과 임신 초기인 임신부에게 권장되기도 합니다. 한자 葉酸 영어(folic acid, folate) 등의 언어에서 엽산을 가리키는 단어는 나뭇잎을 뜻하는 라틴어 folium에서 왔습니다. - 위키피디아
(아.. 엽산 엽산 많이 들었는데 비타민이었군요)
엽산은 호모시스테인 대사에 관여해서 뇌 위축, 치매를 예방합니다.
호모시스테인(Homocysteine)은 강력한 산화제(oxidant) 역할을 하는 분자입니다.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가 높아지면 동맥 내벽이 손상되어 동맥경화를 유발하거나 신경섬유 보호막인 수초를 파괴시킵니다. 호모시스테인을 시스테인으로 전환하거나 메티오닌으로 되돌리는 대사는 적정해야 합니다. 이 과정에 여러 가지 효소뿐만 아니라, 엽산(folate), 비타민 B12(cobalamin)와 비타민 B6가 필요합니다.
추가로, 뉴욕대의대 배리라이스버그(Barry Reisberg) 교수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, 혈중엽산과 비타민B12의 농도가 높은 이들이 그렇지 않은 이들에 비해 기억력 등 6개 평가항목에서 훨씬 높은 점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하네요.
휴~
이렇게 어렵게 쓰려던 게 아니었습니다.
쉽게 편하게 보면서 "왜 이렇게 되지?"라는 부분을 해결해보려고 했는데..
찾으면 찾을 수록 꼬리에 꼬리를 물고 추가하고 싶은 것들이 나오네요.
다음엔 좀 더 쉽게 쓸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^^ /